건강/건강정보

[스크랩] 앨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대장염 등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하는 장내 세균 발

慈尼 Johnny 2011. 1. 8. 08:43

앨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대장염 등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하는 장내 세균 발견 (요구르트 요법 가능)

 

앨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대장염 등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하는 장내 세균 발견

 

 

 

 

 

 

 

 

 

 

 

 

 

장내 세균 중 Clostridium 이라는 세균이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 해 준다는 사실이 발견 되었다

 

 

 

 

 

 

 

 

 

 

 

 

 

 

 [그림] 앨러지, 궤양성 대장염,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자가면역 질환은 면역작용이

 

        병적으로 과잉일 때 발생하는 병태이다 이를 억제 조절해 주는

 

        T-임파구 (FoxP3 Treg)가 정상 활동을 하면 이러한 질환을 일으키지 않는다

 

        장내균중 Clostrdium 은 바로 이 FoxP3 Treg을 증가 집중 시킴이 입증 되었다

 

        자가면역 질환자들은 장내 세균총 중 Clostridium의 증식이 적은 자들이다

 

 

     

 

 

 

 

 

 

 

건강한 자의 장에는 이 세균이 많고

 

 

자가면역 질환자에게는 이 세균이 적다

 

 

 

 

 

 

 

 

 

 

 

 

 

 

 

 

 

 

 

 

 

따라서 발표자들은

 

  Clostridium 을 요구르트나 정장제로 하여

 

매일 섭취해야 할 것이라고 부언하였다

 

 

 

 

 

 

 

 

 

 

 

 

 

 

 

 

 

 

 

 

이는 과학 첨단지 Science 최신호를 통해 발표된 것이며

 

일본 Tokyo 의대, Osaka 의대, UCLA 등 여러 협력 연구 팀의

 

연구 결과이다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하는 T-임파구

 

 

 

 

 

 

 

병태를 조절화는 T-임파구(Treg) 중에서도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하는 T-임파구는

 

FoxP3 라는 유전자를 작동케하는 임파구이다

 

이를 FoxP3+Treg 라 부른다

 

 

 

장내 세균 Clostridium

 

어떠한 장내 세균 보다도

 

바로 이 FoxP3+Treg라는 임파구를 가장 많이 만들어 내게 한다

 

 

 

 

 

 

 

 

 

 

 

 

 

 

 

 

 

 

위 그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장(Colon) 에서나 소장(SI) 에서

 

Clostridium

 

Lactobacillus 균 보다

 

Bacteroid 균보다

 

FoxP3+Treg라는 임파구를 가장 많이 만들어 내게 한다

 

 

 

 

 

장내 세균 Clostridium은 이른바

 

자가 면역 질환 억제 균이라 할수 있다

 

 

 

 

 

 

 

 

 

 

 [그림] 맹장 주위에 집결된 Clostiridium

 

 

 

 

 

 

 

 

 

 

 

 

 

 

 

위 그림은 특히 맹장(cecum) 주위에

 

자가 면역 질환 억제 균이

 

가장 밀집하게 증식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가 면역 질환 억제 균 

 

 

 

 

 

 

 

 

Clostridium의 병태 치유 능력

 

 

 

 

 


 

대장염(Colitisi) 을 유발시킨 쥐를 비교해 보면

 

아래 그림에서처럼

 

Clostridiume이 적은 쥐(SPFF) 보다

 

Clostridium 이 많은 쥐(SPF+ clost)

 

모든 병태를 억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Clostridiume이 적은 쥐(SPFF) 보다 Clostridium 이 많은

 

          쥐(SPF+ clost)모든 병태를 억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림]  Clostridiume이 적은 쥐(SPFF) 보다 Clostridium 이 많은

 

          쥐(SPF+ clost)가 부종을 현저히 억제하고 있다

 

 

 

 

 

[그림] 4D 장벽 표피 재생력 비교

 

 


 

 

 

 

 [그림]  Clostridiume이 적은 쥐(SPFF) 보다 Clostridium 이 많은

 

          쥐(SPF+ clost)가 표피 재생력이 현저하다

 

 

 

 

 

 

 

 

 

 

 

 

 

 

 



 

 

 

 

 

앨러지 유발 항체를 현저히 감소

 

 

 

 

 

 

 

 

 

Clostridium 이 많은 쥐(SPF+ clost)

 

Clostridiume이 적은 쥐(SPFF) 보다

 

아래 그림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앨러지 유발 항체 (IgE) 를 현저히 저하 시킨다

 

 

 

 

 

 

 

 

 

 

 

 

 

 

 

 

 

 [그림]  Clostridiume이 적은 쥐(SPFF) 보다 Clostridium 이 많은

 

          쥐(SPF+ clost)가 앨러지 유발 항체 (IgE) 를 현저히 저하 시킨다

 

 

 

 

 

 

 

 

 

 

 

 

 

 

 

 

 

 

 

 

 

 

 

 

 

 

 

 

염증 유발 인자는 감소 시키고

 

 

 

 

 

염증 억제 인자는 증가 시킨다

 

 

 

 

 

 

 

 

 

 

 

자가 면역 억제 균 Clostridium

 

아래 그림에서 처럼

 

염증 유발 인자 (Interleukin-4) 를 감소 시키고

 


또한 염증 억제 인자(Interleukin -10은 증가 시킨다

 

 

 

 

 

 

 

 

 

 

 

 

[그림]  Clostridiume이 적은 쥐(SPFF) 보다 Clostridium 이 많은

 

          쥐(SPF+ clost)가 염증 유발 인자 (Interleukin-4) 를 감소 시키고

 

           또한 염증 억제 인자(Interleukin -10) 는 증가 시킨다

 

 

 

 

 

 

 

 

이는 염증을 총괄적으로  다스리는 TGF-β를

 

현저히 증가 시키킨다는 것으로서 더욱 확인 된다

 

 

 

 

 

 

 

 

 

 

 

[그림]  Clostridiume이 전혀 없는 쥐(GF) 보다 Clostridium 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항염 인자 TGF-β 가 현저히 증가

 

 

 

 

 

 

[근거]

Science Express 23 December 2010  Page 1-10

1126/science. 1198469  .Induction of Colonic Regulatory T Cells by Indigenous Clostridium Species

Koji Atarashi,1* Takeshi Tanoue,1* Tatsuichiro Shima,2 Akemi Imaoka,2 Tomomi Kuwahara,3 Yoshika Momose,4 Genhong Cheng,6 Sho Yamasaki,7 Takashi Saito,7 Yusuke Ohba,9 Tadatsugu Taniguchi,1 Kiyoshi Takeda,5 Shohei Hori,8 Ivaylo I. Ivanov,10 Yoshinori Umesaki,2 Kikuji Itoh,4 Kenya Honda1,11† 1Department of Immunology, Graduate School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Tokyo, Tokyo 113-0033, Japan. 2Yakult Central Institute for Microbiological Research, Tokyo 186-8650, Japan. 3Department of Molecular Bacteriology, Institute of Health Biosciences, The University of Tokushima Graduate School, Tokushima 770-8503, Japan. 4Department of Veterinary Public Health, The University of Tokyo, Tokyo 113-8657, Japan. 5Laboratory of Immune Regulation, Graduate School of Medicine, Osaka University, Osaka 565-0871, Japan. 6Department of Microbiology, Immunology and Molecular Genetics,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 UCLA, Los Angeles, CA 90095-1781, USA. 7Laboratory for Cell Signaling, RIKEN Research Center for Allergy and Immunology, Yokohama, Kanagawa 230-0045, Japan. 8Research Unit for Immune Homeostasis, RIKEN Research Center for Allergy and Immunology, Yokohama, Kanagawa 230-0045, Japan. 9Laboratory of Pathophysiology and Signal Transduction, Graduate School of Medicine, Hokkaido University, Sapporo 060-0815, Japan. 10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Immunology, 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New York, NY 10032, USA. 11Precursory Research for Embryonic Science and Technology (PRESTO),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Saitama 332-0012, Japan.

 

 

 

한올의약건강뉴스 (2011년  1월 3일 월요일)

출처 : 보리피리
글쓴이 : 보리피리 원글보기
메모 :